[문화재칼럼] 신안 해저 보물선 발견의 숨겨진 이야기 [최태희] 문화재칼럼 신안 해저 보물선 발견의 숨겨진 이야기 [최태희] 우리나라 최초의 수중 발굴이자 세계 수중 고고학계의 세기적 대발견으로 기록된 "新安 海底 遺物 發掘 調査"는 어쩌면 영원히 묻혀질 수도 있었던 사건이었다. 그것은 우연히 발견된 매장문화재를 현지 어민이 성실하게 신고하였고, 때마.. 칼럼 2008.10.20
[문화재칼럼] 어수룩한 시골 총각 오원 장승업의 성공기 [김현권] 문화재칼럼 어수룩한 시골 총각 오원 장승업의 성공기 [김현권] 조선의 3대 화가 중 한 사람이었던 평안도 출신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 1843~1897)은 애초 어수룩한 시골 총각이었다. 그는 어느 때인가 서울에 올라와 지전(紙廛), 즉, 요즈음으로 말하자면 지물포에서 민간에서 쓰이는 그림 등을 그리.. 칼럼 2008.10.20
[문화재칼럼] 간찰(簡札), 사람의 마음을 담아내다 [정제규] 문화재칼럼 간찰(簡札), 사람의 마음을 담아내다 [정제규] 간찰은 말 그대로 길고 납작하게 다듬은 ‘대나무쪽’과 얇고 작은 ‘나무패’를 가리키지만, 지인(知人)들간에 오고 갔던 편지를 상징하고 있다. 종이를 사용하기 전 행해졌던 방법이 오늘날 편지를 대신하는 용어로 자리잡은 것이다. 간찰.. 칼럼 2008.10.20
세계자연유산, 제주[현춘식] 문화재칼럼 세계자연유산, 제주 [현춘식] 삼라만상이 살아가는 자연이나, 그 위를 유구하게 맥박 치며 흘러온 역사, 인간의 삶의 양식으로 표현되는 문화에 이르기까지 그 출중한 가치를 드러내고 널리 인정되기까지는 여러 전문가들의 오랜 연구결과가 누적되어야 가능하다. 그 단적인 예가 문화재.. 칼럼 2008.07.15
효자와 도깨비[김상엽] 문화재칼럼 효자와 도깨비 [김상엽] 소치 허련 200년 2008년은 추사 김정희의 제자로 조선 말기의 서화계를 그의 자서전 제목처럼 “꿈같은 인연(夢緣)” 속에 주유한 직업적 화가 소치 허련(1808-1893)의 탄신 200주년이 되는 해이다. 탄신 200주년을 맞이하여 허련의 일생과 작품세계에 대한 재조명이 시도.. 칼럼 2008.07.15
불교에서 효를 설하다[박도화] 문화재칼럼 불교에서 孝를 설하다 [박도화] - 조선시대 부모은중경의 유행 -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은 대표적인 위경(僞經)의 하나이다. 불교 발생국인 인도에서 만들어져 전해온 경전이 아니라 중국에서 불교가 토착화 되는 과정에서 유교국가인 중국의 문화 및 유교적 정서와.. 칼럼 2008.07.15
암자 속 어느 칠성탱 읽기[최춘호] 문화재칼럼 암자 속 어느 칠성탱 읽기 [최춘욱] 경상남도 밀양은 북쪽의 해발 932m인 화악산을 경계로 경상북도 청도군(淸道郡)과 접해 있는데 이 산의 남록(南麓)은 특이하게도 밀양시 청도면(淸道面)이다. 청도면 요고리 뒤편의 산허리와 산줄기를 타고 오르면 선경(仙境)에 다다란 듯 발아래로 운해(.. 칼럼 2008.07.15
문화재칼럼-은장 문화재칼럼 은장(銀匠) [ 안귀숙 ] 197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쪽머리에 은비녀를 꽂은 할머니들을 쉽게 볼 수 있었고, 지금도 대개의 가정에는 시커멓게 변해버린 은수저 하나쯤은 주방의 서랍에서 찾아낼 수가 있다. 이렇게 은물(銀物)이 우리 생활 속에 있는 것은 고가품이기도 하려니와 육안으로 식별.. 칼럼 2008.04.14
문화재칼럼=꽃비 문화재칼럼 꽃비(雨花瑞) [정진희] 겨울의 끝이 보이지 않아, 오지 않을 것만 같던 봄이 어느새 내 곁에 성큼 다가오더니 그야말로 萬化方暢의 계절답게 온갖 색깔의 꽃들이 보는 이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계절이다. 꽃은 봄이 주는 선물이다. 꽃은 보는 이 그 누구에게도 거부감을 주지 않는 語意 그대.. 칼럼 2008.04.14
문화재칼럼=도자기에 남아 있는 역사의 흔적 문화재칼럼 도자기에 남아 있는 역사의 흔적 [최윤정] 중국의 경덕진 자기는 이미 16세기부터 유럽인들에게 고급자기로 인식되었다. 일본의 아리타 도자기 역시 17세기부터는 유럽인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고, “일본 취미 열풍(Japonism)”으로 이어지면서 일본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반.. 칼럼 2008.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