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별 품목으로는 거래조차 안돼
“장손으로 종가를 제대로 보존하지 못했으니 조상님의 얼굴을 어찌 볼지 걱정입니다.”
경남 합천군 율곡면 문림리 상주 주(周)씨 38대 장손 주사용(72)씨는 지난 4월7일 오후 문중의 정자 호연정(浩然亭)에 들렀다가 그 자리에 주저앉아 버렸다. 경남도 지정 유형문화재이자 가문의 자랑이던 정자 현판 13개가 한꺼번에 사라졌기 때문이다. 호연정은 조선 선조 때 예안현감을 지낸 이요당 주이(周怡) 선생이 관직에서 물러나 제자들을 길러냈던 곳으로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후손들이 다시 복원했다.
주씨는 “문화재 전문가들도 현판만으로는 돈이 안 된다고 하던데 왜 이리 헤집어 놓았는지 모르겠다. 잘못을 묻지 않을 테니 제발 그대로 돌려만 달라.”고 호소했다.
올들어 이렇게 향교와 서원, 고택 등에 걸린 현판을 훔치는 절도범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지난달 20일 경남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 황강정(黃江亭)에서는 남명 조식(曺植)의 시가 새겨진 현판이 밤새 감쪽같이 사라졌다. 비지정 문화재지만 400년 이상 내려오는 가보였다. 이보다 1주일여 앞선 지난달 14일 경북 봉화군 법전면 법전리 경체정(景亭)과 같은 마을 기헌고택(起軒古宅)의 현판도 사라졌다. 각각 추사 김정희(金正喜)와 해사 김성근(金聲根) 선생의 친필 현판을 누군가 훔쳐간 것이다.
●‘비전문가 도둑´ 문화재만 훼손
올들어 6월 말까지 문화재청에 접수된 전국의 도난 문화재 신고건수는 모두 28건. 지난해 같은 기간(30건)과 비슷하다. 그러나 올해 특이한 것은 전체의 3분의 1인 9건이 현판과 천장, 문짝 등을 건물 구성물을 떼어갔다는 것이다.‘마구잡이’ 절도다.17건이 경남·경북에서 일어났다. 문화재청 사범단속반 허종행씨는 “수백년 된 건물을 훼손하면서 뜯어 가지만 현판이나 문짝 등 건물 구성물들은 해당 건물에 붙어 있을 때에만 진가를 발휘해 값어치가 없어서 팔기도 힘들다.”고 말했다. 그는 “이 때문에 전문적인 꾼들은 이런 물건은 건드리지도 않는다.”고 했다. 팔지도 못할 물건을 훔치는 무지한 도둑들 때문에 애꿎은 건축 문화재만 훼손된다는 얘기다.
3월에는 경남 합천군 묘산면 가산리 노강재에서 문짝 13점이 한꺼번에 도난당했다.
범인은 대청마루의 접는 문짝부터 환풍구 노릇을 하는 정자문살까지 닥치는 대로 떼어 갔다.5월 경북 안동 태화동에서는 삼국지의 관우(關羽)를 모시는 무인왕묘 천장의 장식들이 통째로 뜯겨져 나가 건물이 심하게 훼손됐다.
문화재청과 경찰은 장기불황으로 궁핍해진 사람들이 문화재의 가치도 모르면서 절도 행각을 벌이는 것으로 보고 있다.
문화재청 사범단속반 강신태 반장은 “과거에도 문화재 도둑들은 많았지만 올해처럼 마구잡이들은 아니었다.”면서 “건물의 격과 멋을 더하는 현판과 장식물을 부수고 뜯어서라도 몇 푼 벌겠다는 세태가 안타깝다.”고 말했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